
# Bottle –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 에스테이트 배치4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 에스테이트 배치4는 싱글몰트 위스키 (single malt whisky)이다.
글렌모렌지(Glenmorangie)는 고요한 계곡이라는 뜻의 게일어라고 한다. 그 이름, 글렌모렌지는 어울리게 하이랜드(Highland)에 테인(Tain)이라는 작고 조용한 마을에 위치한 증류소이다.
현재는 필자가 좋아하는 아드벡과 같은 소속으로 세계적인 명품 브랜드 루이비통 모엣헤네시(LVMH)의 대표 주류 브랜드이기도 하다. 어쩌다보니 유난히 LVMH 소속의 위스키의 열렬한 팬이된 느낌. 아래는 리뷰한 LVMH 소속의 위스키들
-
증류소와 다른제품군들에 대한 자세한 내용들은 일전의 리뷰를 링크로 둔다.
- 글렌모렌지 시그넷 리뷰 (Glenmorangie Signet)
- 글렌모렌지 시그넷 리저브 리뷰 (Glenmorangie Signet Reserve)
- 글렌모렌지 18년 리뷰 (Glenmorangie 18yo)
- 글렌모렌지 어 테일오브도쿄 리뷰 (Glenmorangie a Tale of Tokyo)
- 글렌모렌지 라산타 12년 리뷰 (Glenmorangie Lasanta 12yo)
- 글렌모렌지 퀸타루반 14년 리뷰 (Glenmorangie Quinta Ruban 14yo)
-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 에스테이트 리뷰 (Glenmorangie 15yo Cadboll Estate Batch 3)
이번에 리뷰하는 글렌모렌지 캐드볼의 경우 이번이 4번째 배치이지만, 앞서 리뷰햔 배치3 다음으로 정발된 두번째 배치이기도 하다.
빌 럼스덴 박사의 밭에서 수확한 보리와 함께, 버번캐스크이긴 하지만 .. 또 하나의 실험이 들어간 제품이다. 괜히(?) 차링을 한 오크통이 아닌, 화이트오크를 자연건조하여 버번으로 시즈닝한 독특한 이력의 버번캐스크이긴 하다. 뭐, 조금 폄하하면 공많이 들인 버진오크 같은 느낌.

# Tasting note –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 에스테이트 배치4
- 국가 – 스코틀랜드
- 주종 – 스카치 싱글몰트
- 용량 – 700ml
- 도수 – 43%
- 가격 – 15만원 전후 (25.2월 기준)
노즈 Nose ;
일반적으로 모렌지를 마실 때 기준이 되는 18년 제품보다는 조금 더 보리 가루(?) 스러운 향이 더 도드라진다. 보리 냄새이기도 하지만, 좀 더 파우더리한 느낌과 크리미한 향이 부각되어 바닐라와 모렌지 특유의 부드러운 사과향도 더 강화된 듯한 느낌. 확실히 버번 시즈닝을 통한 캐스크의 영향이 부각되는 느낌을 받는다.
팔레트 Palate ;
맛에서는 모렌지 특유의 가볍고 살짝 비어있는 듯한 섬세한 느낌보다는 조금 더 직관적이고 강렬한 단 맛이 팔레트에 강조되어있다. 하지만, 마냥 좋지만은 않은게 깊은 과일의 단 맛이라기보다는 가당된 듯 한 직관적인 단 맛이 팔레트 전반을 지배하여 부드럽고 달달하긴 하지만, 단조로움을 잡아줄 스파이스까지도 눌려버린 느낌이 강하다.
피니쉬 Finish ;
오일리한 질감과 오렌지 시트러스가 은은하게 남는다.
# Score (3.25/5) –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 에스테이트 배치4
“럼스덴의 모험에 동료가 되겠는가? “
글렌모렌지의 럼스덴 박사는 나름의 행보로 꽤나 인기를 끌고 있는 글렌모렌지의 아이콘과 같은 인물임에는 분명하지만, 최근의 제품들에서는 어쩔 수 없는 ‘자본주의식 마케팅’이 너무 강력해지고 있는 것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 글렌모렌지 15년 캐드볼이야 원채 빌 럼스덴의 밭에서 본인이 원하는 스팩으로 보리를 다루는 제품군이라는 컨셉에 오크도 실험적인 오크들로 제품을 만들어 낸다. 물론, 재미있는 컨셉과 필자 또한 호기심이 드는 부분도 있지만 기획 단계부터 투자자로 참여하지 않은 채로 왠지 모를 물량 떠넘기기에 당한다는 생각도 가끔 드는 느낌이랄까..ㅎㅎ
하지만, 이번 캐드볼은 혹평을 할정도의 제품은 아니고, 아주 평범하면서도 보통의 모렌지 느낌을 갖고 있긴하다. 최근에 위스키 가격들도 나름의 자리를 찾아가는 중이니 구매에 앞서 필자의 의견만으로 마냥 부정적으로 볼 필요는 없을 것 같다.